✍️

사이드 프로젝트를 위한 웹/앱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Posted on Thu, Mar 11, 2021

1.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개요 단계에서는 서비스를 기획하게 된 이유와 어떠한 기능(핵심 기능)을 가지는지 간단하게 기획해보는 초록과도 같은 단계다.

1.1 문제 정의 및 솔루션

문제 정의를 통해 서비스가 왜 출시 되어야 하는지, 어떠한 고객들이 주 고객층이 될지를 고민해 볼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통해 어떠한 기능들을 내포할지 고민해 본다.

주로 문제 정의와 솔루션은 대응되는 관계로 작성하며 3~5가지 정도의 한 줄 정도로 정의하는 것이 좋다. 길고 자세하게 정의하면 할수록 좋지만,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핵심만 정리하는 편이 낫다.

1.2 MVP(Minimum Viable Product)

솔루션을 더 발전 시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들에 대해 고민해본다. 이때 팀원 혹은 혼자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필요한 기능들, 구현하고자 하는 기등들을 마인드맵 형태로 정의해본다. 줄 글 혹은 목차의 형태로 정리해도 좋다. 편한 방법으로 우선은 쭉 나열하고, 우리가 핵심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만 추려본다. 이때, 이 핵심 기능은 가장 먼저 개발할 목표가 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MVP를 배포하고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거나 투자자들에게 어필할 때 좋은 도구가 된다.

1.3 주 타겟 및 stakeholders

가장 우리가 주 고객으로 여길 주 타겟을 설정한다. 가장 많은 기능을 이용하고, 우리 서비스의 팬이 될 고객들을 고민하고 설정한다. 롱런 하는 서비스는 주 타겟 만으로는 유지될 수 없다. 서비스를 기획할 때 너무 먼 미래를 볼 필요는 없지만, 어느 정도 규모가 커지고 계속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를 설정해야 한다.

이 이해관계자들이 서비스 내에서 생태계를 구성하면, 서비스가 더욱 확장되고 유지되는 원동력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서비스를 계속 성장하기 위해 전략 중에 플라이 휠 전략도 있다. 플라이 휠 전략은 피드백 루프 중 양의 피드백 루프를 간략화 한 것으로 성장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도식화한 것이다.

2. 기존 사례 분석 및 사업화 가능성

이 단계에서는 유사 서비스를 분석하여 우리 서비스가 가지는 확실한 차별성과 사업화 가능성을 분석해본다. 이때, 완전히 유사한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기획하고자 하는 기능을 벤치마크 하여 비교 분석하면 된다.

2.1 유사 제품 및 서비스

유사 제품 및 서비스 분석에 필요한 항목은 아래와 같다. 이를 테이블이나 비교에 용이한 다른 형태로 정리하면 쉽게 우리 서비스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추가로 위의 비교 단계를 거친 이후, POP와 POD를 활용하여 서비스(브랜드)의 포지션(차별성)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다. 여기서 POP(Point of Parity)는 다른 브랜드와의 유사성을, POD(Point of Diffrence)는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뜻하며, 이를 활용하여 우리 서비스를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 서비스를 다른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POP와 POD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2.2 비지니스 모델

유사 서비스는 어떠한 BM(Business Model)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표로 정리하여 우리 서비스가 취해야 할 BM에 대해 고민해 본다. 또한, 서비스 규모와 이를 통해 얻게 될 예상 수익을 대략적으로 계산해보고. 이를 토대로 사업화 가능성에 대해 냉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또한, 우리 서비스의 주 타겟을 대상으로 한 BM과 각 Stakeholder간 관계에 기반한 BM 모두를 고민해봐야 한다. 이 과정 역시, 타 서비스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서비스 구조

앞의 단계를 통해 어느정도 개요가 작성되었으면, 서비스 구조 단계부터는 구체화 단계에 해당한다. 서비스 구조 단계 부터는 두 가지 전략을 취할 수 있다.

  1. MVP → 전체 서비스
  2. 전체 서비스

처음부터 전체 서비스를 그리기 힘들다면 애자일 방식을 채택하여 MVP에 대한 구체화를 먼저 한 뒤 전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구조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할 수 있다. 혹은, MVP 단계의 기획과 개발까지 완성 한 다음에 다시 기획에 들어가는 방식도 있다. 선택은 각자의 시간과 여건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3.1 서비스 구조도(간략)

3.2 사용자 예상 사용 방식 흐름도(핵심 기능)

3.3 필요한 정보(정보 마인드맵)

3.4 서비스 주요 활동(5가지 이내)

4. 유저 스토리

4.1 메인 시나리오 및 유저별 시나리오

4.2 유저 스토리 기반 Product Backlog

5. 서비스 화면 구성

5.1 기본적으로 있어야 할 메뉴

5.2 중요도에 따른 메뉴 배치

5.3 서비스 프로세스

5.4 사이트 맵

5.5 화면 흐름도

5.6 화면(와이어 프레임)

6. 구현

6.1 필요 기술 정의

6.2 시스템 구조

6.3 API 정의

6.4 데이터 정의

7. 성과 측정 방안(정성적, 정량적 KPI 설정)

7.1 개발 측면

7.2 서비스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