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프로젝트 개요
- 1.1 문제 정의 및 솔루션
- 1.2 MVP(Minimum Viable Product)
- 1.3 주 타겟 및 stakeholders
- 2. 기존 사례 분석 및 사업화 가능성
- 2.1 유사 제품 및 서비스
- 2.2 비지니스 모델
- 3. 서비스 구조
- 3.1 서비스 구조도(간략)
- 3.2 사용자 예상 사용 방식 흐름도(핵심 기능)
- 3.3 필요한 정보(정보 마인드맵)
- 3.4 서비스 주요 활동(5가지 이내)
- 4. 유저 스토리
- 4.1 메인 시나리오 및 유저별 시나리오
- 4.2 유저 스토리 기반 Product Backlog
- 5. 서비스 화면 구성
- 5.1 기본적으로 있어야 할 메뉴
- 5.2 중요도에 따른 메뉴 배치
- 5.3 서비스 프로세스
- 5.4 사이트 맵
- 5.5 화면 흐름도
- 5.6 화면(와이어 프레임)
- 6. 구현
- 6.1 필요 기술 정의
- 6.2 시스템 구조
- 6.3 API 정의
- 6.4 데이터 정의
- 7. 성과 측정 방안(정성적, 정량적 KPI 설정)
- 7.1 개발 측면
- 7.2 서비스 측면
1.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개요 단계에서는 서비스를 기획하게 된 이유와 어떠한 기능(핵심 기능)을 가지는지 간단하게 기획해보는 초록과도 같은 단계다.
1.1 문제 정의 및 솔루션
문제 정의를 통해 서비스가 왜 출시 되어야 하는지, 어떠한 고객들이 주 고객층이 될지를 고민해 볼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통해 어떠한 기능들을 내포할지 고민해 본다.
주로 문제 정의와 솔루션은 대응되는 관계로 작성하며 3~5가지 정도의 한 줄 정도로 정의하는 것이 좋다. 길고 자세하게 정의하면 할수록 좋지만,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핵심만 정리하는 편이 낫다.
1.2 MVP(Minimum Viable Product)
솔루션을 더 발전 시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들에 대해 고민해본다. 이때 팀원 혹은 혼자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필요한 기능들, 구현하고자 하는 기등들을 마인드맵 형태로 정의해본다. 줄 글 혹은 목차의 형태로 정리해도 좋다. 편한 방법으로 우선은 쭉 나열하고, 우리가 핵심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만 추려본다. 이때, 이 핵심 기능은 가장 먼저 개발할 목표가 된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MVP를 배포하고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거나 투자자들에게 어필할 때 좋은 도구가 된다.
1.3 주 타겟 및 stakeholders
가장 우리가 주 고객으로 여길 주 타겟을 설정한다. 가장 많은 기능을 이용하고, 우리 서비스의 팬이 될 고객들을 고민하고 설정한다. 롱런 하는 서비스는 주 타겟 만으로는 유지될 수 없다. 서비스를 기획할 때 너무 먼 미래를 볼 필요는 없지만, 어느 정도 규모가 커지고 계속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를 설정해야 한다.
이 이해관계자들이 서비스 내에서 생태계를 구성하면, 서비스가 더욱 확장되고 유지되는 원동력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서비스를 계속 성장하기 위해 전략 중에 플라이 휠 전략도 있다. 플라이 휠 전략은 피드백 루프 중 양의 피드백 루프를 간략화 한 것으로 성장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도식화한 것이다.
2. 기존 사례 분석 및 사업화 가능성
이 단계에서는 유사 서비스를 분석하여 우리 서비스가 가지는 확실한 차별성과 사업화 가능성을 분석해본다. 이때, 완전히 유사한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기획하고자 하는 기능을 벤치마크 하여 비교 분석하면 된다.
2.1 유사 제품 및 서비스
유사 제품 및 서비스 분석에 필요한 항목은 아래와 같다. 이를 테이블이나 비교에 용이한 다른 형태로 정리하면 쉽게 우리 서비스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할 수 있다.
- 서비스명
- 서비스 특징
- 차별점
- 공통점
- 참고 URL
- 서비스 화면 구성
추가로 위의 비교 단계를 거친 이후, POP와 POD를 활용하여 서비스(브랜드)의 포지션(차별성)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다. 여기서 POP(Point of Parity)는 다른 브랜드와의 유사성을, POD(Point of Diffrence)는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뜻하며, 이를 활용하여 우리 서비스를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 서비스를 다른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POP와 POD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클럽 하우스는 트위터와 같은 SNS(POP)지만,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POD)이 있다.
- 카카오 톡은 문자 메세지와 같은 메신저(POP)지만, 통신 요금이 들지 않고 여러 명과 함께 대화할 수 있는 특징(POD)가 있다.
2.2 비지니스 모델
유사 서비스는 어떠한 BM(Business Model)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표로 정리하여 우리 서비스가 취해야 할 BM에 대해 고민해 본다. 또한, 서비스 규모와 이를 통해 얻게 될 예상 수익을 대략적으로 계산해보고. 이를 토대로 사업화 가능성에 대해 냉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또한, 우리 서비스의 주 타겟을 대상으로 한 BM과 각 Stakeholder간 관계에 기반한 BM 모두를 고민해봐야 한다. 이 과정 역시, 타 서비스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서비스 구조
앞의 단계를 통해 어느정도 개요가 작성되었으면, 서비스 구조 단계부터는 구체화 단계에 해당한다. 서비스 구조 단계 부터는 두 가지 전략을 취할 수 있다.
- MVP → 전체 서비스
- 전체 서비스
처음부터 전체 서비스를 그리기 힘들다면 애자일 방식을 채택하여 MVP에 대한 구체화를 먼저 한 뒤 전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구조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할 수 있다. 혹은, MVP 단계의 기획과 개발까지 완성 한 다음에 다시 기획에 들어가는 방식도 있다. 선택은 각자의 시간과 여건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